중독될 정도로 맛있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음식 이름 앞에 마약을 붙이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마약 범죄가 급증하자, 이런 '마약 마케팅'을 근절하자는 캠페인이 등장했고, 선진국에서는 식품명에 마약을 쓰는 건 상상도 못 할 일이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인지 팩트체크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희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마약 김밥부터 마약 옥수수까지, 음식 이름에 '마약'을 붙이는 이른바 '마약 마케팅' <br /> <br />선진국에선 상상도 못 할 일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장진영 / 변호사(MBC 김종배의 시선집중, 지난 19일) : 음식 이름이나 상품 이름 앞에 마약을 붙여서 마약 커피 마약 떡볶이 이렇게 파는 게 지금 엄청 유행이거든요. 선진국의 예를 보면 상품 이름 앞에 마약을 붙여서 파는 건 상상도 못 하는 일이라고들 해요.] <br /> <br />정말 한국만 유독 심각한 상황인지, G7 국가들과 비교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등록 상표의 경우, 국내에서 현재 '마약'이란 단어가 들어간 식품은 7개. <br /> <br />심사 중인 경우까지 합하면 '코카인 치킨'까지 25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G7 국가 가운데 영국을 제외하고는 마약까지 포함한 의약품을 지칭하는 '드럭', 마약을 뜻하는 '나르코틱', 혹은 '필로폰' '코카인' 등의 마약 제품을 일컫는 단어가 들어간 식품 상표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에 있는 제품은 '코카인 에너지 드링크' 하나였습니다. <br /> <br />별도의 등록이 필요 없는 온라인 광고를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마약 범죄가 급증하자 온라인 쇼핑몰들이 스스로 키워드 검색에서 '마약'을 제한하겠다고 했지만, <br /> <br />마약 김치, 마약 곱창 등 소비자의 눈길을 끌기 위해 마약이란 단어를 써서 광고하는 음식이 최소 40종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, G7 국가의 상위 3곳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'마약'이 포함된 음식 이름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, 선진국에서 음식 상품 이름 앞에 마약을 붙여 판매하는 사례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대체로 사실로 판단합니다. <br /> <br />YTN 박희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희재 (parkhj0221@ytn.co.kr)<br />YTN 염다연 (ydy1213@naver.com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2307073102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